2012년 8월 8일 수요일

푸틴도 참!!!


          맹하린


어제 저녁엔  문협의 월례회가  있었다,
17인의 문우들이 담소(談笑)를 나누며 식사를 한 후,  P고문의 특강으로 마무리가 되었다.
머잖아 내 차례도 올 테지만, 나는 누구를 가르치는 일을 적성(敵性)에 안 맞아 하므로 부득이 졸작(拙作)이나 한 편 발표하게 될 것이다.

몇 년 전에는 서너 분만  참석할 정도로 와해(瓦解)될 위기(危機)에도 처했었지만, 문우 한 분 한분 마다 서로 노력하고 각자의 인내심을 발휘한 끝에 오늘의 화기애애함이 조성(造成)되었다고 여겨진다.
30여분의 문우들마다 삼십 종류의 따로국밥인 개성(個性)을 지녔지만, 나는 그분들 모두를 하나하나 다 존중하게 된다.
행여  내게 상처를 안긴 문우가 있을지라도 솔직히 겉으로야 어땠을지 몰라도 속으로는 용서했다.  그러지 않는다면 나는 항상 미움을 품고 살아야 할 테니까.
분명한 것은 그런 분들일수록  언젠가는 다시 같은 레퍼토리로  괴롭힐 확률이 넘쳐,  그러한 여건을 더 이상 만들지 않기 위해 내쪽에서는 항상 무뚝뚝함을 고수해 왔을 것이다.

문협의 월례회에 가기 위해 가게 문을 닫기전,  인터넷 뉴스에서 러시아 대통령 푸틴의 동영상을 보게 되자,  나는 파안대소를 절로  터뜨렸다.
웃음이란 하나도 해로울 게 없다는 말은 진리(眞理) 같다.
그 순간,  점차적으로 커다랗게 높아지는 웃음을 웃으며 내가 쏟아낸 말은 이랬다.
"아니! 아니! 푸틴이 무슨  꼴통이라도 된다는  얘기야?"

나는 가끔 몇몇 남성문우들이 내 손에 운 베소(뽀뽀)를 하려고 할 경우 잽싸게 손을 떨치며 피할뿐아니라  냉엄하게 경고(警告)의 노란딱지까지  제시(提示)하는 성격이다.
물론 존경 나부랭이를 들먹이거나 좋아해서 그렇다고 말하는 걸 못 듣는 바는 아니다.
누가 누구를 좋아하는 일에도 지켜야할 간격은 있다고 본다.

그렇지만 푸틴은 정치가다.
그리고 상대방은  종교지도자가 아닌가.
푸틴 참 모자라다.
정치가에게 걸맞는 노련함이 턱없이 부족하다.
정치를 무슨 꼴통들이나 하는 걸로 아는 모양인가.
정치가의 액션을 보며 꼴통인 이 사람은 리액션을 익힌 동영상이었다.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