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26일 화요일

새틋하게


고객들의 전화는 작업실에서 편안한 자세로 받는다.
하지만 친구나 문우들의 전화면, 나는 무선전화기를 귀에 대고 매장의 출입문 앞으로 성큼성큼 걸어 간다,
나도 모르는 나만의 행동이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가 되어 대기를 순환하듯 절로 이루어지는 셈이다.
대형 유리문 앞에서 길 건너에 펼쳐진 중앙분리대의 산책로를 주시하며 한참이나 얘기를 나누고 있는 나를 내가 발견하게도 된다.
내 시야 가득 수령이 백 년도 넘었을 네 그루의 참나무가 꽉 차이게 들어온다.
지금은 가을이라 도토리들이 땅 위에 내려와 편하게 누운 자세로 하늘은 물론이고 그들의 엄마인 참나무를 올려다보는 일이 흔하고 잦다.
새벽에 특히 많지만 하루 내내 한국인들이 도토리를 줍느라 내게 여러 폭의 특별한 그림이 되어 준다.
나는 한 번도 도토리를 주워 본 일은 없다.
자연을 자연이게 놔두기를 즐겨서다.
나의 일상 속에는 도토리를 줍거나, 참나무 아래의 벤치에서 일광욕을 하는 페이지가 없다,
사실성을 거부하는 편이면서도 때로 나는 논리적이고 사실적이다.
지인들이 그렇게 획득한 도토리로 만든 묵이나 전을 가져다 안기는 일이 간혹 있다.
사먹는 것보다 월등한 감칠맛을 지녔다고 여겨진다.
이민자인 내게 그 몇 그루의 참나무는 계절과 날씨와 시간을 파노라마처럼 각양각색으로 제시해 왔으며 언제라도 열정적이기를 포기하지 않는다.
때로는 나의 그리움조차 나뭇잎들에 얹혀 팔랑였으리.
하루에도 수차례, 참나무와 도토리와 내 동족들을 지켜 볼 수 있어 내 살아감은 더할 나위 없이 고즈넉하다.
방금, 다섯 살쯤 되는 딸아이를 등에 업은 채 걸어오던 한국인 아빠를 발견했다.
길 건너편에 차를 세우고, 도토리 열매들을 요리저리 피하며 우리 가게로 건너오다가, 한국유치원 쪽으로 가고 있었다. 첨 있는 일은 아니나 처음처럼 신선했다.

때때로 광야에 선 것처럼 별빛만으로 더듬더듬 전진을 거듭했던 날들이 없었던 건 아니지만 해가 떠도 해가 져도 참나무를 주시하며 서로의 근황을 챙기는 일은 어떤 면으로는 축복, 그 자체가 아닐 수 없다.
내가 마흔 무렵일 때의 절망은 긍정과 맞바꾼 일로 가히 충만한 일이 되었을 것 같다.
바람이 불어도 우박이 내려도 겸애를 껴안으며 살아 낼 수가 있어서 그 점이 특히 은혜롭다.
 

전화벨이 울린다. 친구 C다.
나는 무선전화를 귀에 댄 채 매장의 출입문 쪽으로 걸어가고 있다,
"어떻게 지내?"
"여일하지. 물에 흐르듯……."
하마터면 실토할 뻔 했다.
"새뜻하게 지낸다, 왜?"라고...




댓글 2개:

lovemate :

몇번을 지나가는 길인데 도토리 나무가 있었는지 몰랐습니다. 항상 까라보보길을 지나가면 시선을 오른쪽으로 님의 꽃가게를 바라보면서 지나갑니다.
저 또한 이렇게 익숙해져 버렸나봅니다. ㅎㅎ

maeng ha lyn :

정말요? 그렇게나 우람한 나무들인뎅! 우리 가게 앞에 네 그루, 제일교회 이쪽으로 세 그루, 영락교회 근처에 또 몇 그루... ㅎㅎ 도토리나무는 안 보이고 제 가게는 바라 보인다는 님의 말씀 어딘지 모르게 눈물난다욤.ㅋㅋ 우리 그런 사이~~~